2017년 10월 25일 수요일

미국에 방화복 제조사가 생각보다 많지 않은 이유

미국에 방화복 제조사가 생각보다 많지 않은 이유
현재 우리나라에는 방화복 제조사가 총 다섯 곳 정도이다. 산청, 하나산업, 지구, 경도, 그리고 신기방적. 진양S&P가 (다시) 시장에 진입하려고 준비하는 중인데, 이 회사까지 들어오면 총 여섯개 제조사가 경쟁하는 구조가 된다. 소방관 수가 4만명이고 한명당 2벌 방화복이 지급되야 하며, 3년에 한 번 새 방화복이 지급되어야 하는 사정을 고려하면 연간 조달규모는 약 3만2천벌 정도가 된다. 매 해 조금씩의 조정은 있고, 3년 넘게 방화복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점, 내근직에게는 방화복이 잘 지급되지 않는 등의 사정을 고려하면 연간 조달규모는 약3만벌 정도로 봐도 무방하다.
반면 미국의 방화복 조달 시장은 110만명의 소방관 (30만은 직업소방관, 80만은 의용소방관)이 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나 재구매 기간이 우리와는 달리 일률적이지 않고 두 벌 지급이 우리만큼 보편화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연간 조달규모를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어려우나 적게 잡아도 약 30만벌 정도의 규모가 나온다. 우리의 10배 정도. 그리고 이 시장에서 겨우 8~10개사가 경쟁한다. Globe와 Honeywell이 투톱이고 Lion, Fire-Dex를 위시한 추격자들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규모로 보나 면적으로 보나 매우 거대한 이 시장에 왜 이렇게 소수의 방화복 제조사만 있을까? 중국만 하더라도 50개가 넘는 제조사가 있고, 유럽을 봐도 이보다 더 작은 시장 규모에 더 많은 제조사들이 할거하고 있다.
이유는 인증 비용이다. 설명을 위해 개념을 잠시 설명하자면 component는 방화복 원단의 각 배열층을 이루는 구성요소다. 겉감(outershell), 투습방수천(moisture barrier), 그리고 단열내피(thermal liner)를 각각 분리해서 말할 때 component라고 한다. composite은 이를 한데 묶은 세트를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component가 하나만 달라도 다른 composite이 되기 때문에 인증을 새로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가령 샌디에고 소방국의 2007년 구매는
겉감: PBI Matrix
투습방수천: Gore Crosstech 2-layer
단열내피: Glide
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게 하나의 composite 세트고 여기서 하나의 component만 달라져도 다른 제품이 되기 때문에 따로 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우리와 같다. 예를 들면 산청은 SCA 1203S 모델과 SCA 1203SA 모델 두 제품을 방화복 라인에 두고 있는데 이 두 모델의 차이는 겉감이 PBI(SCA 1203S)이냐 아라미드(SCA 1203SA)이냐 뿐이다.
그런데, 미국은 소방국마다 자체 규격을 두는 경우가 많고 각 component를 지정하는 사례도 많다. 단순히 NFPA 1971 인증 제품 중에 최저가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방화복의 각 배열층에 무엇을 써야하는지, 반사테이프는 무엇을 써야하는지, 디자인은 어때야하고, 주머니는 어느 위치에 달려야 하고,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지정을 해서 입찰공고를 낸다. 그러다보니 방화복 제조사는 어떤 소방국이 어떤 composite을 원할지 예상할 수 없으므로 대단히 많은 조합에 대해서 인증을 받아둔다. Globe 사의 예를 들자면 인증을 받아둔 composite만 100개가 넘는다. (세어보다가 지쳐서 그만뒀음) 문제는 한 라인당 인증 비용이 11,000달러(1300만원) 정도라는 것이다. 내가 마지막으로 확인했을 때 한국에서 방화복 인증 비용은 모델당 350만원 수준이었다. (작년 방화복 사태 이전의 가격이었으니 지금은 더 떨어졌을 수도 있겠다.) 실제로 Globe나 Honeywell 같은 회사는 인증 비용으로만 한 해에 1백만 달러 이상, 즉 10억원이 넘는 돈을 지불한다고 한다. 더 골 때리는 건 우리는 한 번 인증을 받으면 다음에 KFI 인정기준이 변경되기 전까지는 계속 유효한 인증으로 남는데 반해 미국의 인증은 연간갱신을 요한다는 것이다. 매년 같은 composite에 대해서 다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정리해보자면 미국에서는 한 해에 인증비용으로만 수억원을 날릴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면 방화복 사업을 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에는 거대한 시장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숫자인 8~10개사만이 이 사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소규모 신생 업체가 함부로 들어올 수 없는 구조가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해외 업체가 함부로 들어올 수 없는 다른 이유가 있지만, 그건 공간이 부족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기동복의 미래

2016년 6월에 페이스북 개인계정에 작성한 글

방화복은 기본적으로 가벼울 수 없는 옷이다. 난연소재를 쓰는 겉감, 방수/투습 성능을 가지는 중간층, 그리고 최종적으로 열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는 안감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옷이며, 소방관들이 현장에서 맞닥들일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기본적으로 질기고 튼튼한 성질을 갖는다.

무게를 줄이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하지만 모든 방법에는 희생이 요구된다. 방수투습천을 제거하면 방수성능이 없는 방화복이 된다. 방화복에 무슨 방수성능이냐 하겠지만 화재진압은 많은 물을 사용하는 작업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안감의 무게를 줄이려는 시도 역시 쉽지 않기는 마찬가지이다. 겉감이 불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열의 침투를 막는 것은 안감이다. 안감이 가벼워진다는 것은 대개는 안감이 얇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감이 얇아진다는 것은 곧 외부의 열이 더 빠르게 방화복의 가장 안쪽까지 침투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감은 영어로는 thermal liner 혹은 thermal barrier라고 불리는데, 이 barrier(방어막)는 피아구별이 없다. 즉 밖에서 들어오는 열을 막는 역할도 하지만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안에서 나가는 열도 막는다.

달리 말해보자면, 안감을 얇게 하면 무게는 가벼워지고 두꺼운 느낌은 줄어들지만, 화상에 한발자국 더 가까워지는 것이다.

단순히 이 세 구성원단(겉감, 방수투습천, 안감)의 무게만 놓고 비교한다면 유럽(EN)-한국-미국(NFPA)순으로 무겁다. 미국 방화복의 무거움은 매우 악명이 높다. 왜 이렇게 미국 방화복은 무겁냐는 질문에 대해 내가 들었던 대답은... "미국에서는 소방관이 화상을 입으면 화상 치료에 드는 돈이 무지막지하게 많을 뿐만 아니라, 소방관이 소방본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성원단의 무게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 역시도 방화복의 무게를 결정 짓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주머니가 있는지 없는지, 주머니의 크기나 형태는 어떤지, 무릎/어깨/팔꿈치에 보강재가 사용되었는지, drag rescue device나 그 밖의 악세사리가 달려있는지, 반사테이프가 차지하는 면적은 어느정도인지 등등... 별것 아닌 요소들이 더해지고 더해지면 나중에 가서는 의미있는 숫자가 되기도 한다.

결국 방화복 무게를 줄이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나마 방화복으로 인한 부담을 줄일수 있냐는 고민이 따라오게 된다. 미국식 해법은 겉감을 좀 더 유연하게 만들고, 안감은 피부에 닿는 부분이 좀 더 잘 미끄러지게 하여 마찰과 뻣뻣한 느낌을 줄이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용을 써도 미국 방화복이 유럽 방화복에 비해 무겁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유럽은 그냥 더 가벼운 소재들을 쓰는 것으로 해결을 봤다. 벨기에 신규방화복의 자켓 구성원단 무게는 총 570g/sqm이고 바지의 경우에는 475g/sqm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610~650g/sqm 수준이고, 미국은 가장 가벼운 소재로 조합을 해봐도 630g/sqm 수준, 대개는 680~720g/sqm 범위를 보인다.

하지만 이런 모든 차이에도 불구하고, 유럽방화복 역시 시원한 방화복일 수는 없다. 첫째로는 세겹짜리, 실제로는 6겹까지도 되는 옷이 통풍이 좋아봐야 거기서 거기기 때문이고, 둘째로는 소방관의 현장 활동이 보이는 강도와 화재현장의 주변온도를 고려해보면 방화복이 가지는 여하한 cooling effect는 현장활동 개시 5분안에 싹 사라진다고 보는 것이 현실적이기 때문이다.

얼마전에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영국의 한 소방본부에서는 바지에 안감을 빼버렸다는 것이었다. 이유를 물어보니 어차피 기동복(station wear)를 입으니 기동복이 안감 역할을 해준다는 것. 언제나 난연소재로 된 기동복을 입는다면, 괜찮은 해결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현행 기동복에 대해서 별 이야기를 하지 않아왔다. 우리 회사가 우리나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영역도 아니고, 파트너들도 별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분야다. 다만 무엇이 기동복 표준의 핵심이고 정수인지, 그리고 왜 방염소재 기동복이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북미의 기동복 표준인 NFPA 1975의 핵심은 "방화복이 견디지 못하는 열에 노출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기동복이 화상을 더 악화시키지는 말아야 한다."이다. 우리네 활동복의 소재가 되는 폴리에스테르/나일론 계열 열가소성 수지가 미국에서 기동복 소재로 사용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이다. 몇몇 소방본부에서는 방화복 안에 입는 옷으로 Under Armour같은 브랜드의 기능성 의류를 금지시키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 기능성 의류들은 거의 대부분 폴리에스테르 계열이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는 열이 가해지면 녹는다는 특징이 있다. 녹아서 피부에 달라붙으면 화상이 더 심해지는 것은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면은? 면은 열이 가해지면 굳어 부스러질 뿐 녹지는 않는다. 면으로 된 기동복은 NFPA 1975 인정을 받을 수 있다. 면의 특징은 무엇인가? 무엇보다 땀흡수가 좋고 착용감이 좋다. 다만 내구성이 좋지 않고 (염색)색상유지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땀 흡수는 좋지만 흡수한 수분을 잘 날려버리지는 못한다는 한계도 있다.

내구성과 색상유지의 문제가 바로 아라미드 계열 기동복이 파고드는 부분이다. 아라미드 계열 기동복은 비싸다. 하지만 내구성이 좋고 색상유지가 잘되기 때문에 더 오래쓸 수 있고 교체빈도가 낮기 때문에 총비용으로 본다면 면 기동복을 구매하는 것 보다 아라미드 기동복을 구매하는 것이 낫다는 것.

아라미드 기동복의 단점은 뻣뻣한 착용감과 땀흡수를 모르는 불편함이다. 현장 소방관 사이에서는 퇴출의 목소리가 높고 중앙소방본부에서도 복제 개선을 위한 용역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용역 연구를 해봐야 이미 나와있는 해외 사례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기동복이라는 하나의 옷에 너무 많은 기능을 요구하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방화복 안에 입는 내의로서의 기동복은 성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기본적인 보호역할을 방화복이 한다면, 내의에게 요구되는 덕목은 활동성과 착용감, 그리고 어느정도의 보호성능일 것이다. 반면에 대외활동 때도 입는 일상용 소방제복으로서의 기동복은 제복이 가지는 상징성, 근무복으로서의 깔끔함, 여러사람이 서있을 때 같은 색상으로 보이는 색상유지 등이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이다. 이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만족하는 소재와 옷은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나는 기동복에 대한 (아직 시작도 안한) 연구용역이 어정쩡한 결과를 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장에서 더위와 악전고투하는 소방관을 어떻게 할 것인가? 미국에서도 매우 고온다습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나 올란도라 하더라도 악명높은 NFPA 방화복을 피해갈 수는 없다. 심지어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소방관들도 NFPA 방화복을 입는다. 그들은 어떻게 견뎌내는 것일까. 해답은 현장에서의 잦은 로테이션이 아닌가 싶다. 공격-휴식을 반복하면서 열을 식히고 수분과 영양보충의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 본사가 있는 샬롯의 소방본부는 15분 간격으로 교대를 한다고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