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3일 월요일

후회최소화의 원칙과 PBI

 몇 년 전, 저는 한 소방본부가 PBI를 사용한 방화복을 구매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해당 소방본부를 향한 홍보와 영업을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 이 일은 저에게 아주 큰 후회로 남았습니다. 이후 그 소방본부에서 화상으로 인한 순직자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PBI였으면 그 소방관이 살 수 있었을까요? 그것은 알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그 일 이후로 저는 적어도 모든 소방본부의 장비담당자에게 PBI를 소개하는 일은 절대 빼먹지 않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해야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대해 제가 마음의 짐을 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담당자는 PBI를 고르지 않은 것에 대해 후회하게 될까요? 그것은 알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단 한가지는 확실히 말할 수 있습니다. 장비담당자가 PBI를 골랐다면 현장에서 좋지 않은 일이 발생했더라도 그 부분에 대해서만큼은 장비담당자는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부끄러울 것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사실 이 점이 장비담당자로 하여금 PBI를 선택하게 하는 가장 주된 이유일 것입니다.

2025년 11월 2일 일요일

개인보호장비에 관한 대다수의 표준 시험들은 한계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결국 장비를 착용하고 현장에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은 시험기구에 연결된 센서가 아니라 사람의 피부이기 때문입니다. 숫자로 표시된 성능 수치는 해당 제품이나 샘플이 해당 시험에 대해서 좋은 성능을 냈다는 것이지, 실제로 착용한 사람이 그 제품에 의해서 화상의 저감이나 더 나은 활동성을 보장받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 차이를 아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차이를 알아야 왜 화재가 빈번하고 위험요소가 많은 소방본부일수록 "신기술"을 도입하는데 어떤 때는 관망적인 입장을 취하는지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것이 잘 작동하고 있다면 굳이 새로운 것을 선제적으로 도입해서 동료 소방관을 베타테스터로 쓰기 보다는 이런 과제(?)를 좀 더 도전적인 태도를 취하는 소규모 소방본부에게 맡기고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죠.

PBI의 상업 생산이 시작된 것은 1984년이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최대소방본부인 FDNY가 PBI를 채택한 해는 1994년이었죠. PBI가 방화복의 겉감으로서 다른 소재보다 낫다는 연구 리포트가 정식으로 발간된 것은 1985년의 일이었습니다.

PBI가 40년간 소방에서 널리 사용되는 동안에도 각종 신소재들이 소방에 소개되었다가 퇴출되기를 반복했습니다. 숫자로 표시되는 표준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던 소재들도 표준 시험을 벗어난 현장 환경에서 사용되었다가 그제서야 발견된 단점들로 인해 소방본부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네덜란드의 한 소방본부가 구매했던 이 방화복은 사용 6개월만에 어깨부분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이 제품은 당연히 당시 유럽 표준인 EN469:2005를 충족했기 때문에 현장에 공급이 될 수 있었습니다. 표준에 부합한다는 것이 현장에서 사용했을 때 품질이나 성능에 대한 보장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는 한가지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방화두건용 PBI니트 원단이든 방화복용 PBI직물 원단이든 저희가 자신있게 제품을 추천할 수 있는 배경에는 이런 이유가 있습니다. 거쳐야 할 현장에서의 성능 검증은 이미 유럽과 북미, 대양주의 소방관들이 다 해줬으니까요. 우리 소방관들은 그냥 입기만 하면 됩니다.

2024년 11월 21일 목요일

PBI와 PBO의 차이

 2024 중앙 소방장비 품평회에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을 PBI와 PBO의 차이


미국에는 20,000개가 넘는 소방본부가 있습니다.

그 중 소방관 숫자가 많은 순서대로 20대 대도시 소방본부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뉴욕, LA, 시카고, 휴스턴, 피닉스, 필라델피아, 샌안토니오, 샌디에고, 댈러스, 산호세, 오스틴, 잭슨빌, 샌프란시스코, 콜롬버스, 포트 워스, 인디애나폴리스, 샬롯, 시애틀, 덴버, 워싱턴DC.

이 중 19곳이 PBI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한 곳은 아라미드를 입고 있습니다.


#답이좀됐으려나

2022년 8월 9일 화요일

수난현장에서 특수방화복 착용은 금물

 


장마는 끝나가지만 지난 몇 년 사이에는 8월에도 비가 많이 왔습니다. 비가 많이 내리면 소방관들은 물에서 활동하게 되지요.

이제는 많은 소방관들이 아는 사실이지만, 방화복은 수난구조용으로 고안되지 않았으며, 수난구조용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방화복은 젖으면 무거워집니다. 방화복이 무거워지면, 소방관은 느려지지요. 잘 훈련된 소방관도 방화복을 입은 채 수영을 할 수는 없습니다. 얕은 물이라고 하더라도, 특히 (빠르게) 흐르는 물에서 방화복을 입고 있는 것은 정말 위험합니다. 다른 가벼운 옷을 입고 있을 때보다 훨씬 쉽게 몸의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잊지 마세요. 방화복은 주로 불과 열이 있는 현장에서의 보호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제작된 보호장비입니다.

절대로 수해현장에서 착용하지 마세요.

2022년 7월 11일 월요일

인터슈츠 2015 - 인터슈츠 2022

 


2015년





2022년

회사 로고가 바뀌고,

사람들도 조금 바뀌고 (대개는 그냥 나이가 더 드는 방향으로),

더 많은 곳에서 우리 제품을 찾아주시고,

좋은 방향으로 변화는 계속 일어나고 있는데,

아무 것도 모르고 그저 설렜던 2015년이 그리울 때가 있습니다. 

#interschutz #interschutz2022 #interschutz2015


#pbiproducts #pbi #소방관 #PBI방화복 #소방복 ㅌ

2022년 6월 30일 목요일

2022년 국제소방안전박람회 부스 위치가 나왔습니다.



2012년부터 코로나 때문에 한 해 거른 것 빼면 매 해 참가 중인데, 해가 갈수록 자리가 안좋아지고 있습니다. 다른 회사들이 부스 규모를 키워나가기 때문이기도 하고, 현장 신청 때 서두르지 않았던 탓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여튼 올 해의 위치는 C-542.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방화복의 세탁




이번 인터슈츠 행사에서 몇몇 업체들에게 눈여겨보라고 했던 곳이 바로 이 Decontex라는 업체인데,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방화복 제염을 하는 곳이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매우 효과적인 제염이 가능하고 특히 물세탁으로 잘 해결이 되지 않던 방수투습천의 오염 제거에 탁월했다고 한다.


원리는 밀폐된 세탁조에 이산화탄소 기체를 넣은 후, 압력을 높여 액체로 만든 다음 이를 순환시켜서 세척을 하고 다시 압력을 낮춰 이산화탄소를 기체 상태로 만드는 것. 물을 쓰지 않는 세탁이라 건조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 역시 눈여겨볼만 하다.

 그래서 검색을 돌려봤는데, 국내에서의 운영은 쉽지 않아보인다. 


세탁기 자체는 일렉트로룩스에서 이미 내놓았고, 국내에서도 LG전자가 연구를 진행중이라고 한다. 

Decontex 쪽 친구들 말로는 이미 유럽 8개국에서 연간 125,000벌 이상 세탁하고 있다고 한다. 근데, 밝히기는 어렵지만, 1회 세탁 가격이 꽤나 높다.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매번 돌리기는 어렵고, 아마 연 1~2회 내지 오염이 심한 현장 후 활용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