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3일 수요일

소방 장갑은 왜 부족한가

출처: 소방공무원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출처: 전게서
어떤 장비의 보급이 가장 시급한지 판단하는 준거로서 이 표의 가치는 적지는 않지만 완벽하다고 볼 수도 없다. 이유는 설문 응답자 표본의 왜곡 때문이다. 응답률에 따라 특정 지역이 과대대표 될 수 있다. 가령 서울은 응답률이 15.5%에 그쳤지만, 강원은 무려 96.9%였다. 물론 절대적인 인원 수에서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강원 소방관들의 열정적인 참여가 설문의 결과를 뒤바꿀 정도는 아니었지만... 결국 어느 지역에 어떤 장비가 부족한지 확인하려면, 전체 값을 내는 것 보다는 지역별 결과를 내는 것이 맞다. 이 연구에서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연구의 목적 자체가 지역별 장비 수요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어찌되었든 현장 소방관들이 가장 문제라고 느끼는 지점은 장갑인 것으로 보인다. (여기부터는 추정) 왜 장갑이 가장 큰 문제인가? 예전에도 한 번 포스팅 했지만, 장갑은 내구연한이 따로 없다. 즉 소모품이라는 건데, 이는 다시 "보급율은 측정되지만 노후율은 측정되지 않는다."라는 추정을 낳는다. 수시로 바꿔주도록 소모품으로 분류했는데, 정 반대의 결과가 나오고 있는건가 싶다. 즉, 현장에서는 쓸 장갑이 없는데, 본부나 서의 장부에는 한 사람당 두켤레 세켤레씩 지급될 수 있는 양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수시로 바꿔줄 수 있도록 예비비(?)를 가지고 있는지, 사용이 불가능한 장갑은 장비담당자의 확인 하에 폐기하고 새로운 장갑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고, 이런 시스템이 없다면 만들어야 할 것 같다.


출처: 전게서


장갑은 품질 개선이 필요한 개인안전장비 부분에서도 1등을 해서 2관왕의 영광을 얻었다. 아마도 그립감과 벗을 때 안감이 딸려나오는 문제 때문일 것이다. 제품개발팀이 작업에 들어갔으니 뭔가 결과를 가지고 나올 것이다. "좋은"장갑을 만드는 것은 상상 이상으로 힘들고 까다로운 일이라고 들었다. 건승을 빈다.... 는 최순실 사업으로 결론(2017. 1. 31. 수정)

댓글 없음:

댓글 쓰기